코드리스 전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드리스 전화는 유선 전화보다 20년 이상 앞선 개념으로,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전화선 없이 통화할 수 있는 장치이다. 1960년대 벨 연구소에서 개발이 시작되어 1980년대 가정과 직장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1990년대 디지털 기술 도입으로 음질 향상과 보안 강화가 이루어졌다. 코드리스 전화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으로 나뉘며, 주파수 대역과 기술 방식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갖는다. 미국, 유럽, 한국 등 각 지역별로 사용되는 주파수가 다르며, 디지털 기술은 통화 품질과 보안을 향상시켰지만, 주파수 간섭과 도청의 위험도 존재한다. 불법 코드리스 전화 사용은 관련 법규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으며, 기술 기준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제품 - 용산전자상가
용산전자상가는 1987년 청계천의 전자상인들이 이전하여 조성되었으며, 전기·조명 기구, 휴대전화, 컴퓨터 및 주변기기를 취급하며, 용산역과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지하철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 전자제품 - 비디오 게임
비디오 게임은 1940년대부터 시작되어 발전해 온 전자 게임으로, 다양한 플랫폼과 장르로 분류되며 긍정적, 부정적 사회적 영향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 미국의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미국의 발명품 - 태양 전지
태양전지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발전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고집광 태양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의 새로운 기술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코드리스 전화 | |
---|---|
개요 | |
![]() | |
종류 | 전화 |
발명가 | 테레사 M. 밍 키엔 청 |
기술적 정보 | |
작동 원리 | 유선 전화선에 연결된 베이스 스테이션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 |
통신 방식 | 베이스 스테이션은 전화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휴대용 전화기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무선 주파수를 통해 통신 |
주파수 대역 | 900 MHz 2.4 GHz 5.8 GHz DECT 6.0 (1.9 GHz) |
변조 방식 | FM 또는 디지털 변조 방식 |
통신 범위 | 실내 및 실외에서 제한된 범위 내에서 사용 가능 |
보안 | 디지털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도청 방지 |
특징 | 이동성 휴대성 핸즈프리 통화 통화 대기 발신자 표시 단축 다이얼 재다이얼 메시지 표시 |
역사 | |
초기 모델 | 1980년대 초반에 등장, 제한된 기능과 짧은 통화 시간을 가짐 |
기술 발전 | 배터리 기술 향상 통신 범위 확장 다양한 기능 추가 디지털 기술 도입 |
최근 동향 | 스마트폰과의 연동, 인터넷 전화(VoIP) 기능 통합, 블루투스 연결 지원 |
장단점 | |
장점 | 이동성 및 휴대성 핸즈프리 통화 가능 다양한 편의 기능 제공 |
단점 | 유선 전화에 비해 통화 품질이 떨어질 수 있음 배터리 충전 필요 보안 취약점 존재 가능성 통신 범위 제한 |
참고 사항 | |
주의 사항 |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디지털 암호화 기능이 있는 제품 사용 권장 배터리 수명 및 통화 시간을 고려하여 제품 선택 보안 업데이트 및 펌웨어 업데이트를 주기적으로 확인 |
기타 | |
관련 용어 | 전화 무선 통신 DECT VoIP |
2. 역사
코드리스 전화의 역사는 무선 통신 기술 발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1876년 3월 7일,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Telegraph" 특허를 획득했다.[1]
- 1904년 11월 22일, 로베르토 란델 데 모우라가 "무선 전화"(WIRELESS TELEPHONE) 특허를 획득했다.[1]
- 1966년, 조지 스위거트는 "전이중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고, 1969년 6월에 특허를 받았다.[3] 그는 과달카날과 부건빌에서 복무한 제2차 세계 대전 통신병 경험을 바탕으로, 훈련받지 않은 인력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전이중 통신 개념을 개발하여 고위 지휘관의 전장 통신을 개선하고자 했다.[3]
- 1960년대 후반, 스위거트는 소비자 전자 제품을 AT&T 소유의 전화선에 직접 연결하는 것을 옹호했다. 당시 전화 회사들은 타사 장비 연결을 허용하지 않았으나, 카터폰(Carterfone) 커플러 사건으로 인해 1968년 6월 26일 연방 통신 위원회 금지령이 뒤집혔다(카터폰 결정).[4] 초기 코드리스 전화는 카터폰처럼 공중 전화 네트워크에 음향적으로 연결되었다.[4]
- 1977년, 더글러스 G. 탤리와 L. 듀안 그레고리는 전화 교환국의 전화선에 직접 연결된 기지국과, 송신기, 수신기 및 충전식 배터리 팩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제어 회로가 포함된 이동 유닛 간의 듀플렉스 음성 통신 링크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1]
1980년대 초, 코드리스 전화는 가정과 직장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미국의 코드리스 전화 판매량은 1980년 5만 대에서 1982년 100만 대로 증가했다.[5] 그러나 편리함과 휴대성에도 불구하고, 라디오 신호에 의존하기 때문에 도청이나 불법 행위에 취약하다는 우려도 있었다.[5]
1994년, 900 MHz 주파수 대역의 디지털 코드리스 전화가 출시되어 더 나은 오디오 품질과 보안을 제공했다.[6] 1995년에는 디지털 확산 스펙트럼(DSS)이 도입되어 개인 정보 보호를 더욱 개선하고 간섭을 줄였다.[7]
미국에서는 무선 전화기를 포함한 용도로 연방 통신 위원회(FCC)에 의해 여러 주파수 대역이 할당되었다.
주파수 대역 | 할당 시기 및 특징 |
---|---|
1.7 MHz (1.665–1.770 MHz, 협대역 FM) | 1984년 10월 1일 이후 제조된 전화기는 사용 불가.[9] 구형 전화기는 계속 사용 가능.[9] |
27 MHz (시민 밴드(CB) 무선 서비스 근처) | 일부 주파수는 26.010, 26.050, 26.380, 26.419 및 27.095 MHz. FM - 주파수 변조 방식. |
43–50 MHz (베이스: 43.72–46.97 MHz, 핸드셋: 48.76–49.99 MHz, FM) | 1983년 12월 할당, 1984년 중반 10개 채널 승인, 1995년 4월 5일 15개 채널 추가.[10] |
900 MHz (902–928 MHz) | 1993년 할당 |
1.9 GHz (1920–1930 MHz) | 1993년 개발, 2005년 10월 할당, DECT 6.0과 함께 사용 |
2.4 GHz (2400–2500 MHz) | 1998년 할당 |
5.8 GHz (5725–5875 MHz) | 2003년 할당 (2.4 GHz 대역 혼잡으로 인해) |
21세기 많은 코드리스 전화는 디지털 방식을 사용한다. 디지털 기술은 깨끗한 음질을 제공하고 도청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많은 코드리스 전화는 하나의 주 기지국을 가지며, 최대 3~4개의 추가 기지국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지국 간의 3자 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이 기술을 사용하면 여러 핸드셋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최대 두 개의 핸드셋이 외부 사람과 별도의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초기 주파수 할당의 과도한 혼잡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해당 주파수 사용을 중단하게 되었고, 해당 대역은 비교적 깨끗해졌다. 무선 애호가들은 구형 장비의 사용과 전화 통신 활동을 모니터링한다.
1.7 MHz 무선 전화기는 큰 금속식 망원 안테나를 가진 초기 모델이었다. AM 방송 대역 바로 위 채널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했으며, 도청에 취약하고 간섭을 받기 쉬워 구식이 되었다.[11]
43–50 MHz 무선 전화기는 1990년대 초반까지 널리 사용되었으며, 짧은 유연성 안테나와 자동 채널 선택 기능을 갖추었다. 그러나 과도한 혼잡과 도청 취약성으로 인해 구식으로 간주된다. 고급 모델은 음성 반전을 사용한 기본적인 스크램블링을 제공했다.[12]
900 MHz 무선 전화기는 다양한 종류(아날로그, 아날로그 확산 스펙트럼, 디지털, 디지털 확산 스펙트럼)로 제공되며, 저가형 아날로그 모델은 여전히 도청에 취약하다. 디지털 변형은 도청이 어렵지만 신호 페이드가 발생할 수 있다. 디지털 확산 스펙트럼(DSS) 변형은 신호 페이드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도청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FCC는 DSS 모델 전화가 최대 1와트의 전력으로 전송하도록 허용한다.[13]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거의 모든 새로운 무선 전화기는 1.9 GHz 대역에서 DECT 6.0을 사용하지만, 구형 전화기는 여전히 구형 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3. 기술 방식
제조업체들은 일반적으로 더 높은 주파수 시스템이 음질과 통화 범위를 개선한다고 광고한다. 하지만 이상적인 경우 더 높은 주파수는 프리스 전송 방정식에 의해 나타나듯이 실제로 신호 전파가 더 나쁘며, 경로 손실 또한 더 높은 주파수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품질과 범위에 대한 실제적인 영향은 신호 강도, 안테나 품질, 사용된 변조 방식, 그리고 지역적으로 달라지는 간섭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 전화 서비스" (POTS) 유선 전화는 통화하는 사람들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품질로 소리를 전송하도록 설계되었다. 일반적인 대역폭은 3.6 kHz이다. 이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의 일부에 불과하지만, 음성을 이해하는 데는 충분하다. 전화 시스템 자체의 한계이므로 어떤 전화 핸드셋도 이 품질을 개선할 수 없다. 그러나 더 높은 품질의 전화는 이 신호를 더 넓은 범위에서 더 적은 간섭으로 핸드셋으로 전송할 수 있다. 대부분의 코드리스 전화는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나 전송 방식에 관계없이, 좋은 전화선에 연결된 고품질 유선 전화의 음질에 거의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34] 이러한 제한은 사이드톤, 상당량의 지속적인 배경 소음, 주파수 응답 등의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
대부분의 제조업체는 2.4 GHz 및 5.8 GHz 시스템의 범위를 약 30m로 주장하지만, 저렴한 모델은 종종 이 주장을 충족하지 못한다.
그러나 더 높은 주파수는 종종 장점을 가져다준다. 900 MHz 및 2.4 GHz 대역은 아기 모니터, 전자레인지, 블루투스, 무선 LAN을 포함한 다른 여러 장치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코드리스 전화가 이러한 장치에서 방송되는 신호의 간섭을 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자체적으로 간섭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코드리스 전화가 802.11a 무선 표준과 간섭을 일으킬 수도 있는데, 이는 802.11a 표준이 5.8 GHz 범위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무선 LAN 장치를 5.180 GHz에서 5.320 GHz 대역에서 작동하도록 재구성하여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새로운 1.9 GHz 대역은 DECT 표준을 사용하는 전화에서 사용하도록 예약되어 있으며, 이는 비면허 900 MHz, 2.4 GHz 및 5.8 GHz 대역의 간섭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디지털 확산 스펙트럼(DSS)은 일반적으로 주파수 도약을 사용하여 오디오 신호(3 kHz 대역폭)를 의사 난수 방식으로 훨씬 더 넓은 주파수 범위에 분산시킨다. 신호를 더 넓은 대역폭에 분산시키는 것은 중복성의 한 형태이며, 신호 대 잡음비를 증가시켜 더 먼 거리에서도 통화가 가능하고 간섭에 덜 민감하게 만든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은 이러한 광대역 신호를 위한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한다.
스캐너와 같은 아날로그 수신기에게 DSS 신호는 잡음 덩어리처럼 들린다. 일치하는 의사 난수 생성기를 사용하는 기지국만 신호를 해독할 수 있으며, 핸드셋이 크래들에 반환될 때마다 수천 개의 고유 코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 또한 신호의 디지털 특성으로 인해 잡음에 대한 내성이 높아지며, 일부 시스템은 추가 보안을 위해 디지털 신호를 암호화하기도 한다.
어떤 특정 기지국에 묶여 있지 않지만, 기존의 이동(셀룰러) 전화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로밍 코드리스 전화 핸드셋이 존재한다. 이러한 전화는 주로 DECT, 2.4 GHz 비면허 대역 또는 802.11a/b/g 표준 기반 무선 LAN 기술과 같은 디지털 기술을 사용한다.
3. 1. 아날로그 방식
친기와 자기에 각각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다른 ID(호출 부호)를 지정받아[35], 친기에 자기를 등록함으로써 사용 가능하게 되어 부정 사용을 방지하고 있다.
등록은 당초 판매자만 할 수 있었지만, 자기가 별도로 판매되면서 가입자도 할 수 있게 되었다. 멀티 채널 액세스 무선 방식으로, 다른 무선국이 사용하고 있지 않은 채널을 확인한 후 전파를 발신하는 캐리어 센스 기능으로 혼신을 피한다.
스펙트럼 반전식보안 통화 장치를 내장하여 도청되기 어려워진 기종이나, 컴팬더(압축 신장기)를 내장하여 전파가 약할 때의 노이즈를 청감상 줄인 기종이 있다. 송신 주파수는 친기 380.2125 - 381.3125MHz, 자가기 253.8625 - 254.9625MHz이다.
아날로그 업무 무선과 동일한 주파수 변조 방식이므로, 수신기만 있으면 반경 50m 정도는 간단하게 도청할 수 있다. 고층 주택 등에서 사용했을 경우, 수 km 밖까지 전파가 도달할 수도 있다[36]. 스펙트럼 반전식 비밀 통화 장치는 동작 원리가 단순하여, 해독 장치를 수신기에 연결하면 비밀 통화를 해제할 수 있다.
일반 가정용 외에도, 사업소 코드리스 전화(기업 등의 내선 전화로 다수의 친기를 설치하여 구내 각 장소에서의 통화를 가능하게 한 시스템)도 있었지만, 2000년대에 들어와 구내 PHS 시스템이나 무선 IP 전화 (IP 센트렉스)로 대체되었다.
부모 자식 간 통화 기능만을 이용하여 크레인 신호용으로 만든 제품[37]도 있다. 연속 전송이 가능한 동시 통화형 무선 전화용 특정 소전력 무선국의 출력은 1mW이므로, 보다 안정된 통신을 기대할 수 있다.
3. 2. 디지털 방식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영어)와 같은 방식으로 1.9GHz 대역을 공유한다. 자가 PHS라고도 불린다. 이 방식에도 총무대신으로부터 ID가 지정된다.
PHS 단말기를 친기에 등록하면 자식기로 사용할 수 있다. PHS 자가 모드를 사용한 의료기관, 공장 등의 구내 PHS 시스템으로서의 사용이 주된 용도이다.[39]
고도화 PHS도 1.9GHz 대역을 사용하지만, 코드리스 전화로서의 제품은 확인되지 않았다.[40] 또한, 전기 통신 사업으로서의 PHS는 일부를 제외하고 2021년 1월 31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지만,[41][42][43] 자가 PHS로서의 사용은 전기 통신 사업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사업 종료 후에도 이용 가능하다.[44][45]
DECT에 의한 레트로님으로서, (2G 상당의) 자가 PHS를 '''협대역 디지털 코드리스 전화'''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46]
; 자식기 간 통화
: 제2세대 코드리스 전화는 같은 친기에 등록된 자식기끼리라면, 친기를 거치지 않고 무전기로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47] 또한, 친기를 거치면 동시 통신할 수 있는 기종도 있다.
FHSS-WDCT (주파수 도약 스펙트럼 확산)에 준거한다. PHS와 호환성은 없다. 디지털 방식이고 주파수 도약이기 때문에 도청되기 어렵다(시판되는 수신기로는 도청이 곤란하다).
전파 법령상으로는 소전력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무선국으로서 무선 LAN (Wi-Fi) 등과 동등한 취급을 받는다.
다양한 기기와 공용하는 주파수이며, 혼신 등의 방해는 불가피하므로 그 취지의 표시가 되어 있다. ISM 밴드를 사용하는 고주파 이용 설비로부터 유해한 혼신을 용인해야 한다[48]고 하며, 특히 전자레인지 작동 중에는 큰 방해를 받는다.
또한, 면허·등록을 받고 운용하는 무선국으로부터 유해한 혼신 등도 용인해야 하며, 반대로 무선국으로부터 사용 중지를 요구받으면 이에 따라야 한다. 또한, 동등한 기기에 대해서는 먼저 사용하고 있는 쪽이 우선이지만, 실제로는 혼신 등을 완전히 회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일본 내에서, 앞서 언급한 자가 PHS용 대역(1.9GHz 대역)에서 고속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앞서 언급한 "DECT"와 XGP의 흐름을 잇는 'sPHS 방식'의 2가지 방식이 규격으로 검토되었다.[49] 이 중 실용화된 것은 (일본형) DECT이며, sPHS는 실현되지 않았다.
sPHS 방식 대신, TD-LTE 기반으로 공공용 단말과도 호환성이 높은 sXGP (shared XGP) 방식이 2016년부터 검토되고 있다("LTE 방식의 디지털 코드리스 전화에 관한 기술적 조건").[50]
4. 주파수
미국에서는 연방 통신 위원회(FCC)가 무선 전화기를 포함한 용도로 7개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했다. 초기에는 주파수 할당이 과도하게 혼잡하여 사용자들이 해당 주파수 대역의 전화 장비 사용을 중단했고, 이후 해당 대역은 비교적 깨끗해졌다. 무선 애호가들은 미국의 AM 방송 대역, 일부 27 MHz 주파수 및 대부분의 구형 43-50 MHz 주파수에서 구형 장비 사용과 전화 통신 활동을 모니터링한다. 유럽에서는 1.9 GHz (1880–1900 MHz) 대역이 처음부터 DECT 전화 표준으로 지정되었다.
4. 1. 미국
미국에서는 연방 통신 위원회(FCC)에서 무선 전화기 사용을 위해 7개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했다.주파수 대역 | 설명 |
---|---|
1.7 MHz (1.665–1.770 MHz, 협대역 FM) | 초기 모델에 사용되었으나, 1984년 10월 1일 이후 제조된 무선 전화기는 이 대역을 사용할 수 없다.[8][9] AM 방송 대역 바로 위 채널을 사용했기 때문에 도청에 취약하고 간섭을 많이 받아 구식이 되었다.[11] |
27 MHz | 시민 밴드(CB) 무선 서비스 근처 주파수. 일부 주파수는 26.010, 26.050, 26.380, 26.419 및 27.095 MHz이다. 초기에 1.7 MHz 주파수와 함께 사용되었고, 나중에는 49 MHz 주파수와 함께 사용되었다. 신호는 주파수 변조(FM) 방식이었다. |
43–50 MHz (베이스: 43.72–46.97 MHz, 핸드셋: 48.76–49.99 MHz, FM) | 1983년 12월에 할당되었고 1984년 중반에 10개 채널 사용이 승인되었다. 1995년 4월 5일에 15개 채널이 추가되었다.[10] 1990년대 초반까지 널리 사용되었으나, 주파수 혼잡과 도청 문제로 구식으로 간주된다.[12] |
900 MHz (902–928 MHz) | 1993년에 할당되었다. 아날로그, 아날로그 확산 스펙트럼, 디지털, 디지털 확산 스펙트럼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디지털 확산 스펙트럼(DSS) 방식은 신호를 여러 주파수에 분산시켜 도청을 어렵게 만든다. FCC는 DSS 모델 전화가 최대 1와트의 전력으로 전송하는 것을 허용한다.[13] |
1.9 GHz (1920–1930 MHz) | 1993년에 개발되어 2005년 10월에 할당되었으며, 특히 DECT 6.0에 사용된다. 다른 공유 주파수보다 안전하다고 여겨진다. |
2.4 GHz (2400–2500 MHz) | 1998년에 할당되었다. |
5.8 GHz (5725–5875 MHz) | 2.4 GHz 대역의 혼잡으로 인해 2003년에 할당되었다. |
초기 주파수 할당은 혼잡이 심해 사용자들이 해당 주파수 사용을 중단하게 되었고, 현재는 비교적 깨끗하다. 무선 애호가들은 구형 장비의 사용과 전화 통신 활동을 모니터링하기도 한다.
1.9 GHz 대역은 DECT 6.0 전화 표준에서 사용되며, 북미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새로운 무선 전화 장치는 현재 DECT 6.0을 사용한다. 그러나 DECT 6.0은 다른 지역에 비해 늦게 시작되었기 때문에, 구형 무선 전화기가 여전히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2.4 GHz 및 5.8 GHz에서 간섭을 받고 있다.
미국에서는 2005년에 연방 통신 위원회에서 US-DECT(DECT6.0) 방식을 인가했다.[15] 북미에서는 1,920~1,930MHz를 표준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한다.[15]
4. 2. 유럽
유럽에서는 1.9 GHz (1880–1900 MHz) 대역이 처음부터 DECT 전화 표준으로 지정되었다. 유럽 대역 및 관련 주파수에서 DECT는 북미를 제외하고 전 세계적으로 다른 모든 코드리스 전화 표준을 대체했다. 1988년에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ETSI)가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의 표준화 작업을 시작하여 1,880~1,900MHz를 표준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이 이용되고 있다.[15]연도 | 내용 |
---|---|
1988년 |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에서 DECT의 표준화 작업 시작[15] |
1991년 | ETSI-DECT 초판 발행[15] |
1993년경 | DECT에 준거한 코드리스 전화 발매[15] |
2007년 |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에서 차세대 DECT 초판 발행[15] |
5. 성능
21세기 많은 코드리스 전화는 디지털 방식이다. 디지털 기술은 깨끗한 음질을 제공하고 우발적인 도청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많은 코드리스 전화는 하나의 주 기지국을 가지고 있으며 최대 3~4개의 추가 기지국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지국 간의 3자 통화가 가능한 여러 음성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을 사용하면 여러 핸드셋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최대 두 개의 핸드셋이 외부 당사자와 별도의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제조업체는 일반적으로 더 높은 주파수 시스템이 오디오 품질과 범위를 개선한다고 광고한다. 이상적인 경우 더 높은 주파수는 기본 프리스 전송 방정식에 의해 나타나듯이 실제로 신호 전파가 더 나쁘며, 경로 손실 또한 더 높은 주파수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품질과 범위에 대한 실제적인 영향은 신호 강도, 안테나 품질, 사용된 변조 방식, 그리고 지역적으로 달라지는 간섭이다.
일반 전화 서비스 (POTS) 유선 전화는 통화 당사자가 서로를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품질로 오디오를 전송하도록 설계되었다. 일반적인 대역폭은 3.6 kHz이다. 이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의 일부에 불과하지만, 음성을 이해하는 데 충분하다. 전화 시스템 자체의 한계이므로 어떤 전화 핸드셋도 이 품질을 개선할 수 없다. 그러나 더 높은 품질의 전화는 이 신호를 더 넓은 범위에서 더 적은 간섭으로 핸드셋으로 전송할 수 있다. 대부분의 코드리스 전화는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나 전송 방식에 관계없이, 좋은 전화선에 연결된 고품질 유선 전화의 음질에 거의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한은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
- 사이드톤: 수화기 스피커에서 자신의 목소리가 에코로 들림
- 상당량의 지속적인 배경 소음 (이것은 외부 소스의 간섭이 아닌 코드리스 전화 시스템 내의 소음이다)
- 주파수 응답이 유선 전화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응답이 아님
대부분의 제조업체는 2.4 GHz 및 5.8 GHz 시스템의 범위를 약 30m로 주장하지만, 저렴한 모델은 종종 이 주장을 충족하지 못한다.
그러나 더 높은 주파수는 종종 장점을 가져다준다. 900 MHz 및 2.4 GHz 대역은 아기 모니터, 전자레인지, 블루투스, 무선 LAN을 포함한 다른 여러 장치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코드리스 전화가 이러한 장치에서 방송되는 신호의 간섭을 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자체적으로 간섭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코드리스 전화가 802.11a 무선 표준과 간섭을 일으킬 수도 있는데, 이는 802.11a 표준이 5.8 GHz 범위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무선 LAN 장치를 5.180 GHz에서 5.320 GHz 대역에서 작동하도록 재구성하여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새로운 1.9 GHz 대역은 DECT 표준을 사용하는 전화에서 사용하도록 예약되어 있으며, 이는 비면허 900 MHz, 2.4 GHz 및 5.8 GHz 대역의 간섭 문제를 피할 수 있다.
6. 보안
많은 아날로그 전화 신호는 무선 스캐너로 쉽게 수신될 수 있어, 범위 내에 있는 누구든지 대화를 엿들을 수 있다(이는 많은 국가에서 불법이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최신 디지털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확산 스펙트럼(DSS)은 일반적으로 주파수 도약을 사용하여 오디오 신호(3 kHz 대역폭)를 의사 난수 방식으로 훨씬 더 넓은 주파수 범위에 분산시킨다. 신호를 더 넓은 대역폭에 분산시키는 것은 중복성의 한 형태이며, 신호 대 잡음비를 증가시켜 더 먼 거리에서도 통화가 가능하고 간섭에 덜 민감하게 만든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은 이러한 광대역 신호를 위한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한다.
스캐너와 같은 아날로그 수신기에게 DSS 신호는 잡음 덩어리처럼 들린다. 일치하는 의사 난수 생성기를 사용하는 기지국만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으며, 핸드셋이 크래들에 반환될 때마다 수천 개의 고유 코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 또한 신호의 디지털 특성으로 인해 잡음에 대한 내성이 높아지며, 일부 시스템은 추가 보안을 위해 디지털 신호를 암호화하기도 한다.
7. 불법 코드리스 전화
전파를 발사하는 기기는 원칙적으로 총무대신의 무선국 면허를 받아야 하지만, 코드리스 전화는 예외적으로 소전력 무선국으로 분류되어 기술 기준 적합 증명[70]을 받아야 한다.
"일본 외 제품은 일본 제품보다 전파 도달 범위가 넓다"는 문구로 판매되는 경우가 있지만, 일본 외 사양의 코드리스 전화는 판매 및 소유는 규제되지 않으나 기술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기술 기준 적합 증명을 받지 않은 기기를 사용하면 불법 무선국을 개설한 것으로 간주되어 전파법 제4조 위반이며, 제110조에 따른 처벌 대상이 된다. 이러한 코드리스 전화가 '''불법 코드리스 전화'''이다.
즉, 기술 기준에 적합함을 나타내는 '''기술 적합 마크가 없으면 일본 국내에서 사용할 수 없다'''. 기술 기준에는 "쉽게 열 수 없을 것"[71]이라는 규정이 있어 특수 나사 등이 사용되므로, 사용자는 개조나 수리를 위해서라도 분해해서는 안 된다. 일본 국내용이라도 개조된 것은 기술 기준 적합 증명이 무효가 되어 불법 코드리스 전화가 된다.
기술 적합 마크 규제 사항도 참고.
1980년(쇼와 55년)경부터 유니덴 등 일본 국내 제조사가 수출하던 제품이 역수입되어 아키하바라 등 전자 상가에서 주로 판매되었다. 전파법뿐만 아니라 일본전신전화공사 회선에 접속하는 것은 1984년(쇼와 59년)까지 공중 전기 통신법에도 위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흑전화'''밖에 없던 시절에 수화기 코드가 없는 자유로운 통화, 세련된 디자인, 다이얼 회선에서 푸시 버튼 사용, 단축 다이얼 등 다채로운 기능으로 인기를 얻었다. 전송 거리가 수십 km에 달하는 고출력 제품도 있었고, 휴대 전화 등장 이전, 자동차 전화가 비싸던 시절에는 불법임을 알면서도 사용하는 사람도 있었다.
교세라가 독자 규격으로 일본 국내용 코드리스 전화를 발매했는데, 미승인 기기이며 사용 주파수가 자위대에 할당된 주파수여서 국회에서 문제가 제기[17]되었다. 그러나 이것이 여론을 자극했고, 일본전신전화공사에서 NTT로 이행한 직후 전기 통신 자유화에 따른 "단말의 자유화" 물결을 타고 코드리스 전화가 자유화되었다. 자유화 이후 불법 코드리스 전화는 감소했지만, 완전히 근절되지는 않았다.
8. 기타
2006년(헤이세이 18년), 지바현 초시시의 한 가정집에서 사용하던 코드리스 전화기에서 243MHz의 조난 신호가 계속 발신되어 해상보안청이 여러 번 출동하는 일이 있었다.[82] 이후 코드리스 전화기의 배터리가 오래되면 드물게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고,[83] NTT 동일본과 NTT 서일본은 해당 제품을 회수·교환하는 조치를 취했다.[84][85]
참조
[1]
뉴스
How Cordless Telephones Work
http://electronics.h[...]
2000-12-11
[2]
웹사이트
Telephone Collectors
https://web.archive.[...]
[3]
특허
DUPLEX RADIO COMMUNICATION AND SIGNALING APPARATUS FOR PORTABLE TELEPHONE
[4]
논문
Carterfone: My Story
https://digitalcommo[...]
2009
[5]
뉴스
CORDLESS PHONES CATCHING ON
https://www.nytimes.[...]
2022-06-06
[6]
뉴스
A New Generation Of Cordless Phones
https://www.nytimes.[...]
2022-06-06
[7]
간행물
Geek Page
https://www.wired.co[...]
2022-06-06
[8]
문서
Servicing Cordless Telephones
https://archive.org/[...]
Radio-Electronics
1985-05
[9]
뉴스
Cordless Telephones Get Better, More Secure
https://www.newspape[...]
2017-08-24
[10]
뉴스
FCC Approves 25 Channels For Phones
https://www.newspape[...]
2017-08-24
[11]
웹사이트
1.7MHz cordless telephone datasheet & application notes - Datasheet Archive
https://www.datashee[...]
2021-03-23
[12]
웹사이트
Cordless Telephone Systems - Wireless & Mobile Communications Questions & Answers
https://www.sanfound[...]
2021-03-23
[13]
웹사이트
How Cordless Telephones Work
https://electronics.[...]
2021-03-23
[14]
서적
The Pocket Disaster Survival Guide: What to Do When the Lights Go Out
Simon and Schuster
2010
[15]
웹사이트
総務省情報通信審議会 情報通信技術分科会 資料
https://www.soumu.go[...]
2018-10-02
[16]
웹사이트
大阪万博コードレス
https://sts.kahaku.g[...]
国立科学博物館-産業技術の歴史-移動通信技術
[17]
웹사이트
衆議院会議録情報 第102回国会 決算委員会第7号 昭和60年5月17日
https://kokkai.ndl.g[...]
[18]
법령
電波法施行規則第6条第4項第1号 コードレス電話の無線局
[19]
법령
無線設備規則第49条の8
[20]
법령
昭和62年郵政省告示第764号コードレス電話の無線局に使用する無線設備の一の筐体に収めることを要しない装置等
[21]
웹사이트
標準規格概要(STD-13)
https://www.arib.or.[...]
ARIB - 標準規格等一覧
[22]
웹사이트
標準規格概要(STD-14)
https://www.arib.or.[...]
ARIB - 標準規格等一覧
[23]
법령
無線設備規則第49条の8の2
[24]
법령
平成5年郵政省告示第522号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の無線局、簡易型携帯電話の陸上移動局、簡易型携帯電話の基地局又は簡易型携帯電話通信設備の試験のための通信等を行う無線局に使用する無線設備の時分割多重方式における多重する数等を定める件、後に平成10年郵政省告示第612号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の無線局又はPHSの無線局に使用する無線設備の技術的条件等に承継され廃止
[25]
웹사이트
標準規格概要(STD-28)
https://www.arib.or.[...]
ARIB - 標準規格等一覧
[26]
웹사이트
第2-2-4-1図 一元化された電気通信機器への貼付マーク
https://www.soumu.go[...]
平成7年版通信白書 第2部第2章第4節 1.(1)(キ)電気通信機器に貼付するマークの一元化(総務省情報通信統計データベース)
[27]
문서
後述の平成21年度報告書 第2章 2.1コードレス電話の国際動向を参照
[28]
문서
平成24年総務省令第100号による[[電波の利用状況の調査等に関する省令]]改正により、周波数帯の区分は770MHzから714MHzに変更されたが、公表の時期に変更はない。
[29]
법령
平成17年総務省令第119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
[30]
법령
平成22年総務省令第93号による電波法施行規則改正
[31]
법령
平成22年総務省令第94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
[32]
법령
平成22年総務省令第95号による 特定無線設備の技術基準適合証明等に関する規則改正
[33]
법령
時分割多元接続方式狭帯域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の無線局等に使用する無線設備の技術的条件等
総務省告示
[34]
웹사이트
標準規格概要(STD-101)
https://www.arib.or.[...]
ARIB - 標準規格等一覧
[35]
법령
電波法施行規則第6条の2
[36]
문서
無線設備規則第49条の8第1号ロに「音声帯域内の通信が可能であること。」とされ、周波数間隔は12.5kHzであり、いわゆるナローFMである。
[37]
웹사이트
クレーン合図用アナログコードレステレホン
http://www.to-tsu.jp[...]
[38]
문서
電波法施行規則第6条第1項第1号
[39]
문서
あわせて高度化PHS専用帯域である1.8GHz帯 (1884.65 - 1893.35MHz) も
[40]
문서
自営用の帯域で高度化PHS方式 (W-OAM) 形式の電波を送信できるか不明
[41]
문서
当初は2020年(令和2年)7月末にサービス終了予定となっていたが延期された
[42]
웹사이트
PHSのサービス終了のご案内(Y!mobile)
https://www.ymobile.[...]
2020-10-22
[43]
뉴스
一般向けの「PHS」が2020年7月末で終了、法人向けテレメトリングのみ継続
https://k-tai.watch.[...]
ケータイ Watch
2018-04-19
[44]
문서
基本的に、公衆サービス以外の自営用PHS端末(コードレス電話の1種に該当)については、公衆PHS事業者の動向の影響は及ばない。つまり、自営用端末は、総務省により「免許を要しない無線局」としての認可が廃止されるまでは利用可能である。
[45]
문서
ただし公衆サービスの終了とは'''無関係に'''、コードレス電話に関してはその技術基準の改正により、2005年11月30日までに技術基準適合証明を受けた小電力コードレス電話と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は、'''技適マークがあっても2022年12月1日以降は使用できない(電波法違反)'''。PHS端末(自営モード)や自営PHS親機、アナログコードレス電話、その他PHS方式によるビジネスホン親機や集合装置などの一部が使用不可となる。(平成17年総務省令第119号改正の無線設備規則の改正附則第5条第1項による。平成17年12月1日施行)
[46]
웹사이트
sXGPはローカル5G導入へのファーストステップ ビー・ビー・バックボーンが打ち出した新戦略 {{!}} ビジネスネットワーク.jp
https://businessnetw[...]
2020-10-22
[47]
문서
無線設備規則第49条8の2第2項第2号、第49条8の2の2第2項第2号、第49条8の2の3第2項第2号
[48]
문서
総務省告示[[周波数割当計画]]の脚注
[49]
간행물
情報通信審議会 情報通信技術分科会 小電力無線システム委員会 第29回資料
https://www.soumu.go[...]
総務省
[50]
뉴스
第780回 sXGPとは
https://k-tai.watch.[...]
ケータイ Watch
2016-11-08
[51]
문서
PHSの1.9GHz帯(1893.65 - 1919.45MHz)のうちの一部帯域。
[52]
문서
平成26年総務省令第67号による[[特定無線設備の技術基準適合証明等に関する規則]]改正および平成26年総務省令第68号による[[端末機器の技術基準適合認定等に関する規則]]改正の施行
[53]
간행물
平成17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暫定版)平成18年6月 p.1811(平成17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暫定版)及び評価結果の概要(案)」の公表及び「平成17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評価結果の概要(案)」に対する意見の募集(総務省 報道資料 平成18年6月8日))
www.soumu.go.jp/s-ne[...]
総務省
2007-08-08
[54]
간행물
平成20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770MHz以下の周波数帯)平成21年5月 p.1101(「平成20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の公表及び「平成20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評価結果(案)」に対する意見募集(総務省 報道資料 平成21年5月14日))
www.soumu.go.jp/main[...]
総務省
2009-07-22
[55]
간행물
平成23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770MHz以下の周波数帯)平成24年5月 p.969(「平成23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の公表及び「平成23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評価結果(案)」に対する意見募集(総務省 報道資料 平成24年5月18日))
www.soumu.go.jp/main[...]
総務省
2012-06-01
[56]
간행물
平成26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714MHz以下の周波数帯)平成27年4月 p.1059(「平成26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の公表及び「平成26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評価結果(案)」に対する意見募集(総務省 報道資料 平成27年4月9日))
www.soumu.go.jp/main[...]
総務省
2015-05-02
[57]
간행물
平成29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714MHz以下の周波数帯)平成30年5月 p.1203(「平成29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の公表及び「平成29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評価結果(案)」に対する意見募集(総務省 報道資料 平成30年5月25日))
www.soumu.go.jp/main[...]
総務省
2018-06-01
[58]
간행물
平成16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 平成17年4月 p.390(平成16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及び評価結果の概要の公表 電波監理審議会からの答申(総務省 報道資料 平成17年4月13日))
www.soumu.go.jp/s-ne[...]
総務省
2007-08-08
[59]
간행물
平成19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 平成20年5月 p.342(「平成19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の公表及び「平成19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評価結果(案)」に対する意見の募集(総務省 報道資料 平成20年5月2日))
www.soumu.go.jp/s-ne[...]
総務省
2009-01-13
[60]
간행물
平成22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710MHzを超え3.4GHz以下の周波数帯)平成23年6月 p.401(「平成22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の公表及び「平成22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評価結果(案)」に対する意見募集(総務省 報道資料 平成23年6月7日))
www.soumu.go.jp/main[...]
総務省
2011-06-07
[61]
간행물
平成25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714MHzを超え3.4GHz以下の周波数帯)平成26年3月 p.443(「平成25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の公表及び「平成25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評価結果(案)」に対する意見募集(総務省 報道資料 平成26年3月20日))
www.soumu.go.jp/main[...]
総務省
2014-04-02
[62]
간행물
平成28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714MHzを超え3.4GHz以下の周波数帯)平成29年5月 p.537(「平成28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調査結果」の公表及び「平成28年度電波の利用状況調査の評価結果(案)」に対する意見募集(総務省 報道資料 平成29年5月12日))
www.soumu.go.jp/main[...]
総務省
2017-06-01
[63]
문서
平成17年総務省令第119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
[64]
문서
平成17年総務省令第119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附則第3条第1項
[65]
문서
平成17年総務省令第119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の施行日の前日
[66]
문서
平成17年総務省令第119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附則第5条第4項
[67]
간행물
無線設備規則の一部を改正する省令の一部改正等に係る意見募集 -新スプリアス規格への移行期限の延長-(総務省報道資料 令和3年3月26日)
www.soumu.go.jp/menu[...]
総務省
2021-04-01
[68]
문서
令和3年総務省令第75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の令和3年8月3日施行
[69]
문서
令和3年総務省令第75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附則第2項
[70]
문서
電波法第4条第3号
[71]
문서
無線設備規則第49条の8第1項ニ、第49条の8の2第1項ロ、第49条の8の2の2第1項ロ、第49条の8の2の3第1項ロ、第49条の20第2項イ
[72]
간행물
平成元年版 通信白書 資料編 6周波数管理及び無線従事者 6-2電波監視等 ウ不法無線局の探査
https://www.soumu.go[...]
同上
[73]
간행물
平成2年版 通信白書 資料編 6周波数管理及び無線従事者 6-2電波監視等 ウ不法無線局の探査
https://www.soumu.go[...]
同上
[74]
간행물
平成3年版 通信白書 資料編 6周波数管理及び無線従事者 6-2電波監視等 ウ不法無線局の探査
https://www.soumu.go[...]
同上
[75]
간행물
平成4年版 通信白書 資料編 6周波数管理及び無線従事者 6-2電波監視等 ウ不法無線局の探査
https://www.soumu.go[...]
同上
[76]
간행물
平成5年版 通信白書 資料編 1電気通信 1-3電波利用 (2)電波監視等
https://www.soumu.go[...]
同上
[77]
간행물
平成6年版 通信白書 資料編 1電気通信 1-3電波利用 (2)電波監視等
https://www.soumu.go[...]
同上
[78]
간행물
平成7年版 通信白書 資料編 1電気通信 1-3電波利用 (2)電波監視等
https://www.soumu.go[...]
同上
[79]
간행물
平成8年版 通信白書 資料編 1電気通信 1-3電波利用 (2)電波監視等
https://www.soumu.go[...]
同上
[80]
웹사이트
ユニデンの歴史
http://www.uniden.co[...]
[81]
웹사이트
電話機製品につきましては、すべて生産終了製品となります。
http://www.uniden.jp[...]
2017-09-08
[82]
뉴스
NTT東西が15年前に販売したコードレス電話機を回収へ, まれに遭難信号を勝手に発信
https://xtech.nikkei[...]
Tech-On!
2006-09-26
[83]
웹사이트
「ハウディ・コードレスホンパッセ S-200/S-220」における遭難信号と同一の周波数の電波を誤発信する事象について
http://www.ntt-east.[...]
NTT東日本・NTT西日本連名
[84]
웹사이트
「ハウディ・コードレスホンパッセS-200/S-220」の回収・交換について
http://web116.jp/ced[...]
NTT東日本
[85]
웹사이트
同上
http://www.ntt-west.[...]
NTT西日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